전지적 러너 시점
마케터 서주희
기념일(anniversary)
때로는 의미 있는 날짜를 거리에 맞춰 뛰곤 해요. 특히 1월 1일에는 새로운 해를 맞이하기 위해, 하프(21km) 버금가는 거리를 뛰었는데요. 겨울철이라 춥고 힘들었지만 20.25km를 뛰는 동안 새해 다짐과 앞날을 떠올리며 무사히 완주했답니다. 그리고 근로자는 1월에 연말정산 하듯, 러너는 1년간 달린 거리를 런말정산하기도 해요. 기념일을 새롭게 즐기는 방식, 나름의 재미가 있어요.
제철(season)
‘제철’하면 계절 과일이나 이맘때 꼭 먹어야 하는 음식, 또는 전성기를 의미하는 리즈 시절을 떠올리곤 하는데요. 한 편으로는 마라톤 시즌으로 제철 대회가 떠올라요. 우리나라 마라톤은 2월에 시즌을 시작해서 상반기는 3~5월, 하반기는 9~11월를 거쳐 12월에 시즌 마감해요. 요즘 인기인 트레일 러닝은 숲속에서 뛰기 때문에 계절 변화를 온전히 만끽할 수 있고, 더운 여름철(비시즌)엔 대안책이 되기도 해요.
여행(travel)
일상을 떠나 어디론가 여행할 때 가급적 러닝 아이템을 챙기고, 관광하면서 뛸 수 있는 거리나 공원을 물색하곤 해요. 팬데믹 이후로 베트남, 독일, 스위스, 프랑스 등에서 여러 국적의 러너를 만났는데요. 낯선 도시를 즐기는 새로운 방식에 무척 신났어요. 올해 2월에는 오사카 마라톤에 참여하는데요. 언젠간 세계 6대 마라톤에도 참여하고 싶어요.
여기까지 러너 시점의 #장소 #기념일 #제철 #여행에 대해 얘기해 봤어요. 어떠셨나요? 부디 흥미롭게 읽으셨길 바라며, 지금부터 짧은 영업 들어갑니다! 러닝은 제게 헬시플레저(건강과 즐거움의 합성어)로 몸과 마음의 체력을 높여주고, 그 외에도 장점이 아주 많아요. 그중 2가지를 꼽자면 첫째로 생활 스포츠 중 진입 장벽이 낮아 가볍게 시작할 수 있어요. 둘째로 러닝이 대세인 요즘, 여러 브랜드에서 혜자로운 이벤트나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어 즐겁게 임할 수 있어요.(TMI: 2024년 6월, 배민도 마라톤 대회를 개최했어요. 물론 저도 참여했답니다? (배민 장보기오픈런)
러닝에 관심이 생겼다면 지금이 적기일지도 몰라요. 그런 의미로 오늘 저녁, 동네에서 러닝 어때요?🏃♀️🏃♂️💨